선택정렬
선택 정렬 --> 가장 작은 수를 선택하자 그래서 앞의 모임으로 보내자 ex) [1,3,2,4,7,6] 1. i의 역할 --> 수문장의 역할?? i를 기준으로 뒤쪽은 아직 정렬되지 않은 수들의 모임 i까지의 수들은 정렬이 된 상태 2. j의 역할 --> 행동원 j가 하나 하나씩 돌아다니면서 가장 작은 수를 찾는다 (i부터 끝까지 수중에서) 그 수를 찾았을 경우 swap 실행 3. swap i를 기준으로 뒤쪽에서의 가장 작은 수를 찾았으면 이 수를 i번째 수와 교환한다. 위의 비유들을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코드를 보자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 { int arr_len; cin >> arr_len; int arr[arr_len]; for(int k=0;..
Algorithm
2022. 10. 25. 22: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