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복신 개발자
2021. 7. 31. 12:30
반응형
트리란?
이차원의 자료구조이다. 앞서 배웠던 스택과 큐는 낮은 차원의 자료구조인 방면 트리는 이차원의 자료구조이다.

A-->루트 노드(root)
G,H,J,E,K-->리프 노드(leaf)
B,C,D,F--> 내부 노드(internal)
-부모 자식 관계
노드 D-->노드 G,J,H의 부모
부모 노드, 자식 노드로 표현
간선으로 연결된 관계임
조상: 부모의 부모의 부모...
후손: 자식의 자식의 ...
-노드의 수준
루트 노드-->level0
순차적으로 1씩 커짐
-트리의 높이
=최대 수준 level +1

-부분 트리(서브 트리)
어느 한 노드를 기준으로 잘라내어 따로 분리한 트리
나무에서 가지 부분과 의미가 같음

-노드의 차수(degree)
=자식(서브트리)의 수

-이진 트리(binary tree)
모든 노드의 차수가 2이하인 트리
재귀적으로 정의 가능
루트 노드 & 왼쪽 서브 트리 & 오른쪽 서브트리
-포화 이진 트리
모든 레벨에서 노드들이 모두 채워져 있는 이진트리
높이가 k이고 노드의 개수가 2^k-1개라면 포화 이진트리
-이진 트리
size()-->현재 트리에 포함되어 있는 노드의 수
depth()--> 현재 트리의 깊이
-이진 트리의 구현(노드)
data & left child & right child
반응형